- This topic has 0개 답변, 1명 참여, and was last updated 1 day, 7 hours 전에 by
simmon. This post has been viewed 53 times
-
-
안녕하세요. simmon입니다.
해야 할 일을 잠시 미루고, coex에 열린 2일간의 isec2025를 참석했습니다.
본인에게도
보안 부분은 중요해서 큰 의미를 두고 참석하였고, 서버 및 리눅스 지원 관련 부분을 중심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부분은, 실제 구성 및 관련 고객사 제안 등에도 함께 할 수 있는 파트너 및 요구된 보안 등을 지원 할 수 있는
협업을 고려 할 수 있는 장이 된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리눅스 직접 지원관련된 보안기업으로 V3 안랩, 알약으로 이스트시큐리트(주)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고객
지원에도 가능한 부분을 확인 하였습니다. 해당 업체는 리눅스 및 유닉스를 포함한 윈도우 제품군에서도 다양한 제품군을
지원하므로, 하드웨어 및 운영체제에 직접 설치해 사용 할 수 있도록 해당 제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페도라 운영체제 지원 부분에서도 안랩과 이스트시큐어리티 등도, 실제 설치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었으며, 보안 적용이
가능한 타업체도 기준 커널 이상이라면 지원에 문제가 없음을 표시하였습니다. 이는 지원 기업마다 구형 OS 사용이 많은
경우도 있어 가능하리라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른 부분으로 공장 및 산업시설(FA)관련 업체로 YOKOGAWA 업체에서 관련 부분 설명을 들을 수 있었고, 산업체
보안 관련 기술 부분 및 교육 지원 관련 부분에 대해서도 설명을 잘해주었습니다. 산업용 보안 부분에 장점을 갖고
있어서 눈에 들어왔습니다.
대만에서 참가해주신 WinNexus라는 보안 솔류선을 설명해주신 CT-Cloud 관계자님(대표님, 기술, 관리)에게 해당
솔류션에 대한 정보 및 안내도 받았으며, 제품 동작에 대한 부분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해당 동작 부분에 한글
지원도 있어서 기대되는 해외업체로 생각합니다.
하드웨어 및 보안 관련 하드웨어/지원 솔류션 업체로 돋보이는
포티넷, 펜타시큐어리티, SubGate, SysOne, SysOne(시큐아이 보안솔류션), 시큐어원 등도 많은 참여자의 관심과
호응이 있었습니다.
Microsoft Security, CROWDSTRIKE, 고성능 AI NPU를 전시한 모빌린트 또한 관심 있게 봐야 기업이었습니다.
모빌린트는 암(ARM)을 이용한 저전력 형태의 AI 지원과 영상처리에 특화된 것으로, 공간과 크기/전력제한이 있는
경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CATO의 CLOUD Platforam – SASE 전문기업, 인증서 수명 주기관리 솔류션 CERTKOREA제품, PKI 보안전문기업 한
국기업보안, 통합계정*권한관리 NETS 등에서도 친절하게 자사 제품을 설명해주셨습니다.
스마티키퍼 제공장치는 물리적인 보안을 제공하고 직접적인 물리적인 허점을 막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보안관련 직접적
인 사용과 장치 제한 등에 편리함이 돋보입니다.
솔류션 및 하드웨어 제품 중심에 AI가 있었으며, 이를 이용한 보안 활용에 고려 할 수 있는 점과 기업 외부 및 내부에서 발
생되는 보안 문제를 적극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부분은 모두 공통된 주제에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서버 및 리눅스 탑재된 장비와 그 상위를 보호하는 보안장비, 그리고 서버를 이용한 윈도우 클라이언트 등을 함께 관리
할 수 있는 수 많은 제품군과 지원 제품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이 외에, 실제 사용자 또한 보안과 연관된 부분을 잘
준 수 할 수 있는 부분과 필요성 또한 느끼게 됩니다.
어떤 부분에서, 내부의 보안이 전체 시스템을 막고 지키는 외부 보안보다 더 섬세하게 다뤄야 하는 부분도 공감하고
보안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한번 더 되돌아 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되었습니다. 관련 isec2025 참관 관련 소감과
해당 부분 정보 공유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written by simmon
https://accounts.fedoraproject.org/user/simmon/
- 답변은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