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저는 KDE 대신 Gnome을 이용을 이용하는 편인데
페도라에선 노틸러스 스크립트를 이용할 때 관리자 권한을 Beesu를 사용합니다.
페도라21에선 조금 드물어 졌지만 Beesu는 워낙 말썽이 잦고 보안이 취약해서
저는 사용하지 말라고 권하는 편입니다.
노틸러스 스크립트를 이용할 때 이제부턴 pkexec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보안도 좋고 사용자 권한인 파일과 디렉토리에선 정책상 pkexec가 활성화 되지 않으므로
미관상도 보다 나은 편입니다.
참고로 pkexec가 어떻게 생겨냐 하면 그놈에서 기본으로 뜨는 관리자 창입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노틸러스나 지에디터를 이용하시려면
몇가지 정책을 우선적으로 설정하셔야 합니다.
아래 첨부파일에선 이런 정책 설정과 제가 이용하는 몇가지 스크립트를 업로드 합니다.
한가지 예만 들어 볼까요?
bleachbit를 이용하실 때 우분투 계열에선 gksu를 이용하시면 루트 권한으로는 참이뜨지 않는 현상이 있습니다.
물론 자체 버그이지만 pkexec를 이용하시면 제대로 돌아 갑니다.
bleachbit를 pkexec로 사용하시려면 /usr/share/polkit-1/actions/org.gnome.bleachbit.policy 파일을
아래와 같이 설정하여 사용 하시면 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DOCTYPE policyconfig PUBLIC
"-//freedesktop//DTD PolicyKit Policy Configuration 1.0//EN"
"http://www.freedesktop.org/standards/PolicyKit/1/policyconfig.dtd">
<policyconfig>
<action id="org.gnome.pkexec.bleachbit">
<message>Authentication is required to run Bleachbit</message>
<icon_name>bleachbit</icon_name>
<defaults>
<allow_any>auth_admin</allow_any>
<allow_inactive>auth_admin</allow_inactive>
<allow_active>auth_admin</allow_active>
</defaults>
<annotate key="org.freedesktop.policykit.exec.path">/usr/bin/bleachbit</annotate>
<annotate key="org.freedesktop.policykit.exec.allow_gui">true</annotate>
</action>
</policyconfig>
저장후 터미널에서 pkexec bleachbit 하시거나 주메뉴에서 blechbit root 메뉴의
명령 부분을 su 어쩌구하는 부분을 pkexec로 변경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policy 파일은 /usr/share/polkit-1/actions 디렉토리에 저장하시면 되고
스크립트 파일은 ~/.local/share/natilus/scripts 디렉토리에 저장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