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is topic has 4개 답변, 2명 참여, and was last updated 4 years, 6 months 전에 by
태랑. This post has been viewed 981 times
-
-
이전에 공유 드린 페도라 리눅스 데스크탑 활용 에 관한 두번째 글 입니다.
이전글 : https://www.fedoralinux.or.kr/forums/topic/21208
글의 작성 환경은 Fedora 33 의 Gnome 환경 입니다.
1. termius
termius 는 SSH/Telnet 접속 도구 입니다. 완전히 무료나 오픈소스는 아니고 부분 유료화 입니다. Basic Plan(무료) 로 사용하면 기능 제약이 있으나 일반적인 SSH 를 접속하고 사용하는데 별 문제는 되지 않습니다 그 이외 더 추가적인 고급 기능이 필요한 경우 유료 구매가 고려 되지만 기본적인 SSH 접속 정도만 사용할 것임으로 Basic Plan 으로도 충분히 사용이 가능 합니다.
URL - https://termius.com
패키지가 deb 만 제공 되어서 snap 을 통해 설치를 하면 되며 아래의 순서로 설치를 하시면 됩니다.
user$ sudo dnf install snapd user$ sudo ln -s /var/lib/snapd/snap /snap user$ sudo snap install termius-app 2021-02-09T20:15:12+09:00 INFO Waiting for automatic snapd restart... termius-app 7.5.2 from Termius✓ installed
설치가 완료 되었다면 프로그램 목록에서 Termius 를 선택해 실행을 합니다.
실행 시 로그인과 가입에 대한 항목이 나옵니다 아래 이미지를 잘보시면 로그인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링크가 보입니다 아래 이미지에서 확인 되는 곳을 클릭 하시면 됩니다.
처음 실행하면 설정은 개인의 필요에 따라 변경 하시면 되며 기본적으로 권장 드리는 필수 변경 사항은 폰트 입니다. 기본 설정의 폰트 작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 와 같이 점 3개(설정 메뉴) -> Terminal 항목으로 이동 합니다.
기본 값은 10이며 개인에 맞게 크기를 변경 하시면 됩니다. 이미 접속된 터미널은 해당 값을 변경 하여도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설정 변경 후 다음 접속 세션(터미널) 부터 적용을 받습니다 그래서 변경을 하고 나서 터미널에 접속을 해서 사이즈가 나에게 맞는지 확인 하시면 됩니다.
그룹을 만들어서 여러 접속 정보(호스트)를 한곳에 모을 수도 있습니다 일단 호스팅만 설명 드리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NEW HOST 를 선택 합니다.
사용할 호스트명(식별자) 과 접속할 서버의 IP 나 Endpoint 정보를 입력 합니다.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보시면 접속포트, 아이디, 패스워드를 입력 할 수 있는 항목이 있습니다. 또한 패스워드 입력란 오른편에는 SSH 개인키를 입력할 수 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SSH 키를 통해 접속한다면 해당 메뉴에서 키를 등록 하시면 됩니다
설정이 완료 되었다면 상단에 있는 SAVE 버튼을 눌러서 저장을 합니다.생성한 호스트를 클릭 하여 접속을 시도 합니다.
아래와 같이 접속 되는 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페도라의 기본 terminal 을 통해 기본 ssh 와 ssh_config 파일 등을 통해 접속 및 접속 목록 에 대한 항목이 가능하지만 GUI 형태로 조금 더 편리한 사용을 위해 소개를 해드렸습니다.
2. filezilla
filezilla 는 윈도우, 리눅스, 맥 등 다양한 플렛폼에서 ftp/sftp 를 이용한 파일전송 도구로 가장 많이 사용 되는 프로그램 일 거라고 생각 됩니다
설치는 dnf 레파지토리에서 설치가 가능 합니다.
user$ sudo dnf install filezilla
설치가 완료 되면 프로그램 목록에서 filezilla 를 선택 합니다.
Fedora33 에서 설치된 버전은 3.52.2 버전으로 확인 됩니다. Filezilla 는 원낙 알려진 도구로 사용에 관한 상세 설명은 생략 하도록 하겠습니다.
3. Virtualbox
Virtualbox 는 윈도우 , 리눅스, 맥 등 다양한 플렛폼에서 사용 할 수 있는 가상화 도구이며 사용법이 쉽고 업데이트가 빠르며 기능 또한 매우 충실하게 있는 매우 인기 있는 가상화 도구 입니다
Fedora33 용으로 rpm 패키지가 아직 등록이 되어 있지 않지만 설치는 가능 합니다 설치 관련해서는 작성된 커뮤니티내 글을 참조 하시면 됩니다. Fedora33 나 Centos 등에서 버츄얼박스 미지원 부분에서 수동 설치
설치는 VirtualBox-6.1.18-142142-Linux_amd64.run 파일을 다운 받아서 설치 하였습니다.
포스팅 시점에 설치 가능한 최신 버전은 6.1.18 버전 입니다.
저의 경우 Virtualbox 를 윈도우,리눅스, 맥 어느 OS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도 항상 사용하고 있는 거의 필수 프로그램 중에 하나 이기도 합니다.
[안내] 해당 서비스의 경우 원 제작사가 중국인 관계로 먼저 설치 하시기 보다는 웨비나 나 회사에서 사용 등에 따라서 필요시에 설치하시거나 개인적으로 더 알아보신 후 가입 및 사용을 하시는 편을 가이드 드립니다.
관련 의견 : Reply#23040Zoom 은 이번 코로나 팬데믹 사태 와 함께 급 부상한 화상회의 서비스 입니다. 이런 화상회의 솔루션이 여러가지가 있으나 요즘 웨비나를 통해 여러 기술 세미나를 듣게 되면 2/3 정도는 zoom 을 통해서 진행을 하는걸 느낄 수가 있었습니다.
https://zoom.us/download?os=linux [링크] 를 통해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면 rpm 파일을 통해 설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user$ sudo rpm -ivh zoom_x86_64.rpm 경고: zoom_x86_64.rpm: Header V4 RSA/SHA1 Signature, key ID 61a7c71d: NOKEY Verifying... ################################# [100%] 준비 중... ################################# [100%] Updating / installing... 1:zoom-5.5.7011.0206-1 ################################# [100%]
설치가 완료 되면 프로그램 목록에서 아래와 같이 볼 수 있으며 선택해서 실행을 하면 됩니다.
실행 된 모습입니다. 진행자나 Speaker 인 경우 프로그램을 로그인하여 진행하면 될 것이고 보통 웨비나 등의 참석을 할 경우 이메일로 온 참석 링크를 클릭하면 Zoom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될 것 입니다.
5. KolourPaint
KolourPaint 는 윈도우의 그림판 정도로 생각 하시면 됩니다. gimp 나 다른 고급화 이미지 도구가 있지만 저의 경우 포토샵 등의 프로그램을 잘 다루지는 못하여 그림판 정도의 기능만 사용해왔습니다. gimp나 여타 다른 기능이 많은 도구도 좋지만 간편하고 쉽게 사용하기에는 윈도우의 그림판이 쉽게 사용 할 수 있긴 하며 리눅스에서는 KolourPaint 이 매우 흡사한 프로그램 입니다.
설치는 프로그램 설치 도구에서 KolourPaint 로 검색하여 아래 이미지의 설치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 하실 수 있습니다.
실행한 모습이며 윈도우의 그림판과 매우 흡사한 모습이고 기능 또한 매우 비슷하여 이미지에 대한 작업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6. 안드로이드 폰과 연결
최근의 보통의 리눅스 패포판은 안드로이드 폰과 연결이 가능하도록 패키지나 라이브러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페도라 리눅스도 포함되어 있거나 설치가 가능하고 지금 설치된 환경에서는 MTP 는 연결이 되지 않았지만 PTP 방식으로 연결은 해보았습니다.
MTP 와 PTP 는 아래의 스마트폰 화면을 보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그래서 PTP 방식으로 사용하여 연결을 진행하시면 될 것입니다.
만약 둘다 연결이 안되신다면 아래와 같이 패키지 설치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user$ sudo dnf install gvfs-mtp
USB 로 연결 하면 아래와 같이 연결되면서 디렉토리 목록과 스마트폰 디바이스의 이름이 확인되게 됩니다.
PTP 방식이라도 일반 파일과 이미지 파일 모두 전송이 가능 합니다. 테스트 삼아서 파일을 복사하였고 정상적으로 파일이 복사 되는 것을 확인 하였습니다.
스마트폰에서도 2개파일에 대해서 정상적으로 확인이 되고 있습니다.
7. putty
putty 내용은 업데이트 추가 된 내용 입니다.
putty 는 ssh, telnet 관련하여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툴 입니다(프리웨어)
dnf 또는 yum 으로 간단 하게 설치 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udo dnf install putty 마지막 메타 데이터 만료 확인 :1:00:19. 2021년 06월 07일 (월) 오후 09시 44분 45초 이전에 확인 종속성이 해결되었습니다. ==================================================================================================================================================== 패키지 아키텍처 버전 리포지터리 크기 ==================================================================================================================================================== 설치 중: putty x86_64 0.75-1.fc34 updates 1.3 M 트랜잭션 요약 ==================================================================================================================================================== 설치 1 패키지 총 다운로드 크기 : 1.3 M 설치된 크기 : 6.1 M 정말입니까 [y/N]: y 패키지 다운로드중: putty-0.75-1.fc34.x86_64.rpm 1.5 MB/s | 1.3 MB 00:00 ---------------------------------------------------------------------------------------------------------------------------------------------------- 합계 388 kB/s | 1.3 MB 00:03 트랜잭션 확인 실행 중 트랜잭션 확인에 성공했습니다. 트랜잭션 테스트 실행 중 트랜잭션 테스트에 성공했습니다. 트랜잭션 실행 중 준비 중 : 1/1 설치 중 : putty-0.75-1.fc34.x86_64 1/1 scriptlet 실행 중: putty-0.75-1.fc34.x86_64 1/1 확인 중 : putty-0.75-1.fc34.x86_64 1/1 설치됨: putty-0.75-1.fc34.x86_64
이번 글에서는 여기까지 페도라 리눅스의 데스크탑 활용에 관한 내용을 설명 드렸습니다.
추가적인 내용이 확인 되면 업데이트 공유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최상위로 [이동]
감사합니다
이전글 : https://www.fedoralinux.or.kr/forums/topic/21208
이모티콘 정보는 다음 링크 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오픈소스를 응원합니다 Blog https://hoing.io
Senior Database Administrator(MySQL, Oracle)사이트 이용 문의 사항은 댓글이나 admin@fedoralinux.or.kr 로 메일주세요
- 답변은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