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is topic has 0개 답변, 1명 참여, and was last updated 2 months, 1 week 전에 by
simmon. This post has been viewed 98 times
-
-
안녕하세요. simmon입니다.
F42가 나오고, 현재로는 안정 배포판 형태로 사용과 쓰임에 큰 문제는 없습니다.
F43 rawhide 시험 중에 나타나는 부분은 GUI 관련 화면이 더욱 깔끔해지고, 동작 상태도 더 매끄러워졌습니다.
다만, 기존 서버 형태로 사용시에는 터미널 형태의 서버나 gui를 내려 놓은 후에 사용하면 되고, GUI 등을 이용한
웍스테이션 형태로 사용시에 그래픽 지원 부분이 필요합니다.
운영체제 및 장비의 숙명처럼, gui가 미려 할 수록, 내장 GPU 보다는 점점 외장 GPU 지원이 필요해집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구성과 달리
그놈(Gnome)가 표준 형태를 구성하고 있고, 이에 따라 KDE 와 같은 형태로 적용시에는 lightdm 또는 sddm과
같은 별도의 GUI 관리 도구가 필요합니다. 다들 사용하는 중이더래도, gdm 또한 데몬을 이용해 적용하므로
변경하고자 하는 관리 도구도 데몬 형태로 올려주고, 기존 데몬은 내려 놓아야 합니다.
현재 해당 커널은 6.16 형태로 지원하고 있으며,
최근 출시와 시험 구성 진행 중인 rehel10/rocky10/almalinux10 또한 6.X대 커널을 적용해 발표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존 페도라 지원 및 운영체제 상태와 새로 출시되는 레헬10 계열의 동작 상태를 확인 하는 것이
좋을 듯 싶습니다.
레헬 10의 운영체제와 동작 특성을 점검하면서,
기술의 발전 및 다양한 서비스 적용 등이 예상되며, 구형 하드웨어 제약 등이 일부 예상됩니다.
페도라는 레헬의 모태가 되므로, 관런 서버 및 상용 서버 구성과 개발과 연계된 부분까지 겸하는 운영체제로
보다 관심 있게 관련된 변화 추이를 볼 수 있습니다. 페도라를 주 운영체제로 사용하는 장비가 많은 본인에게는
많은 변화와 안정성이 더욱 강화되는 느낌을 받습니다.
그리고, ai가 대세인 만큼, 언어 모델을 바로 시험해 적용해 볼 수 있는 ollama를 바로 설치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F42에서는 미완성 형태의 ollama 설치를 지원하나, F43에서는 온전하게 볼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멋진 하루 보내세요.
written by simmon
ps: 오늘은 우리 커뮤니티를 이끌고 있는 정현호님의 생일입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https://accounts.fedoraproject.org/user/simmon/
- 답변은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